디자인 프로세스
- 개발에 맞추어 디자인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음
- 애자일 기반의 프로세스가 대세 (특성에 따라 폭포수 프로세스 이용하기도 함)
- 폭포수
- 디자이너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모든 것을 문서화 함
- 단계별로 모든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디자인 적용이 쉬움
- 문제정의 > 디자인 > 개발 > 검증
- 애자일
- 폭포수 프로세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짐
- 작은 팀 규모, 가까운 물리적 위치, 팀원 간 역할 구분이 엄격하지 않아야 함
- 프로젝트를 나눠서 개발
- 문제정의 > 디자인 > 개발 > 검증 이 루틴으로 진행 (예. 회원가입 따로, 로그인 따로
- 린
- 리서치를 통한 가설 같은 불확실성을 다루는데 최적화된 애자일 프로세스 중 하나
- 최소 요건 제품(MVP)을 검증할 때 사용
- 아이디어 > 구현 > 제품 > 측정 > 데이터 > 학습의 루틴
- MVP
- 고객에게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
- 비즈니스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디자인 스프린트
- 구글에서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때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안해낸 프로세스
-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 후 가정을 검증하고, 개발 시작 전 전체 제품 로드맵을 결정하는데 사용
애자일 프로세스 디자이너
- 공감능력 : 비즈니스와 사용자를 빠르게 이해하고 공감
- 다양한 방법론 : 다양한 방법론과 스킬을 목적에 맞게 사용
- 프로토타이핑 :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함
'패스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15] UX/UI 디자인 노하우4_2022.02.18 (0) | 2022.02.18 |
---|---|
[DAY14] UX/UI 디자인 노하우3_2022.02.18 (1) | 2022.02.18 |
[DAY13] UX/UI 디자인 노하우2_2022.02.16 (1) | 2022.02.16 |
[DAY02] UI/UX 디자인 이해2_2021.11.09 (0) | 2022.02.16 |
[DAY01] UI/UX의 이해_2021.11.06 (1) | 2022.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