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를 끌어당기는 UX는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만들어질까?
# 디자인 씽킹을 통해 이해하는 UX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 사용자를 가장 중심에 두고 혁신을 이루어 내고자 하는 방법론 <> 기술, 솔루션 중심 접근법
- 기술, 솔루션 중심 접근법 : 기술을 바탕으로 활용하여 사람들이 사용할 만한 무언가를 만들어보자는 것
- 여러 이해관계자가 오너십을 가지고 다양한 업무에 적용
- 디자인씽킹의 단계 : 공감 > (핵심문제)정의 > 아이디어 도출 > 프로토타입 > 테스트
- 공감 & 정의 :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
- 아이디어 도출 & 프로토타입 & 테스트 :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
# 공감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유저 리서치 활동
사용자 데모그래픽 조사
-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 연령대는 어떻고, 어느 지역에 주로 사는지 등을 알 수 있음
- 우리가 타깃으로 삼아야 할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알 수 있게 도와줌
-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타깃 사용자의 페르소나를 정의하는 데도 활용
일대일 심층 인터뷰
- 사용자의 생각과 의도를 알아볼 수 았는 가장 대표적인 활동
사용성 테스트
- 사용자에게 제품이나 프로토타입을 사용해보게 함 > 관찰 + 질문 > 피드백 얻기
- 이를 토대로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문제점을 정의할 수 있음
애널리틱스 조사
# 정의 단계
공감 단계에서 수집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문제와 사용자에 대해 정의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함
제품을 기획할 때 타깃으로 삼는 사용자를 명확하게 해야 함 (새로운 앱을 만든다면)
UX 디자이너
- 아이디어에 대한 열린 자세
- 어느 직군이든 아이디어 도출 과정에 함께 참여시켜 그들의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내보게 하는 것
- 사용자가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
# 아이디어 도출 단계
타깃 사용자가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보는 단계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아이디어 공유하는 것은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는데 매우 효과적
브레인라이팅
- 정해진 시간 내에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포스트잇과 같은 종이에 적는 것
- 모든 참여자가 주어진 시간에 동등하게 아이디어를 적을 수 있게 함 > 모든 참여자로부터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음
경쟁 사례 데모
-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때 자주 활용하는 방법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다양한 사례를 참여자들과 함께 살펴보는 방법
- 영감을 얻고 벤치마킹 / 추가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음
크레이지 8
- 구글 벤처스라는 그룹의 디자인 파트너 제이크 냅의 저서 '스프린트'에서 소개된 방법
- 팀원 또는 이해관계자들이 모여서 정제되지 않은 날것의 아이디어를 마음껏 내보는 것
# 아이디어 좁히기
아이디어의 효과나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지 정도 등을 고려 > 우선순위 > 아이디어 좁히기
실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받기 전까지는 모든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은 가설에 불과함
여러가지 아이디어의 장단점을 적기 > 비교 > 뽑기 > 프로토타입
UX 아이디어는 얼마나 참신해야 할까?
아이디어보다 중요한 스토리 (= 앞, 뒤 과정)
-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 배경
- 어떻게 발견했는지
- 사용자를 통해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치 않으면 반쪽짜리 아이디어에 불과
- 아이디어의 독착성보다 아이디어가 나온 전후 배경에 대한 스토리를 잘 풀어내야 함
같은 하늘아래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없다
- 회사끼리 기능을 벤치마킹하는 일이 많음
- 이미 존재하는 아이디어를 제품에 맞게 잘 다듬어서 활용
'도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디자인 입문 A to Z를 읽고_7 (2) | 2023.02.03 |
---|---|
UX디자인 입문 A to Z를 읽고_6 (1) | 2023.02.01 |
UX디자인 입문 A to Z를 읽고_4( 유저 리서치2 ) (0) | 2023.01.29 |
UX디자인 입문 A to Z를 읽고_3( 유저 리서치 ) (0) | 2023.01.28 |
UX디자인 입문 A to Z를 읽고_2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