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읽은 글 : https://brunch.co.kr/@fbrudtjr1/21
대표 커뮤니티 플랫폼들의 목록 페이지
목록 페이지 UI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콘텐츠의 성격
- List > view : 본문 길이 제한이 없고 전문적인 학술 자료나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
- 사진 중심의 2열 또는 1열 레이아웃 : 텍스트보다는 사진이 주가 되는 커뮤니티
- 1열 Feed : 1000자 이하의 단문이며 전문적인 이야기보다는 가벼운 가십거리 소재를 나누는 커뮤니티
--------------------------------------------------------------------------------------------------------------------
# 댓글과 대댓글
댓글창 설계 시 기획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존재
댓글 표시의 순서 차이
- 콘텐츠의 속성에 따른 차이
- 다방향 소통 방식 (여러 유저들과 의견을 나눔) or 쌍방향 소통방식 (작성자와 댓글 작성자의 소통)
- 순수하게 커뮤니티 중점인지 콘텐츠가 중점인지에 따라 레이아웃도 달라짐
다방향 소통방식
- 여러 유저들과 의견을 나눔
- 커뮤니티 중심의 소통 > 모든 대댓글 표시
쌍방향 소통방식
- 작성자와 댓글 작성자의 소통
- 대댓글이 일저 개수 이상 초과할 시 접어서 표시
커뮤니티 서비스를 기획할 때 댓글 영역에서 기획자가 정의해줘야 할 정책적 요소
- 본문에서 몇개의 댓글을 표시할 것인가 (5개? 10개?)
- 댓글은 오래된 순부터 표시할 것인가 최신순부터 표시할 것인가
- 본문에서 카운팅되는 댓글 개수에 대댓글은 포함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 대댓글은 일정 개수가 넘으면 접어서 표시할까 모두 다 표시할까
--------------------------------------------------------------------------------------------------------------------
# 시간 / 날짜 등 서비스에 따른 작성일 표시법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작성일을 표시하는 방법
- 오늘 작성한 글은 작성 시간을 표시 (24시간제) / 이전 글은 작성 일자를 표시
- 1분전 / 1일전 등으로 글 작성 일자를 특정 단위로 쪼개서 표시
작성일 표시 방법은 서비스 성격에 따라 차이를 보임 (글이 작성된 시기가 중요한지 글의 내용이 중요한지)
- 알고리즘에 의한 추천순인 경우 글 작성 시간을 특정 단위로 쪼개서 표시
- 많은 글들이 올라오고 작성 순서대로 글이 표시되는 서비스인 경우 명시적으로 시간을 표현 > 순서대로 리스트 페이지에서 표시
알고리즘에 따라 작성순서와 상관없는 서비스
- 추천/적합도에 따라 게시물을 노출 (ex.커리어리) > 시간보다 글의 내용이 중요
- 글 작성 시간은 대략적으로 뭉뚱그려서 표현
- 글의 열람기준이 시간이 아닌 글의 내용이기 때문
전통적인 커뮤니티
- 최신 이슈와 같은 시의성 있는 소재를 다루는 경우가 많음
- 글의 리스폰율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는게 중요
--------------------------------------------------------------------------------------------------------------------
# 비추천은 어떻게 고인물을 만드는가
최근 커뮤니티 플랫폼의 트렌드는 추천 기능만 두고 비추천이나 신고 기능은 두지 않은 것이 일반적(포지티브 정책)
> 비추천 기능을 악용해 커뮤니티 여론을 장악하고 커뮤니티를 공이게 만드는 사례가 다수 발생
비추천 방식, 신고기능의 문제점
-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도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스팸, 광고글 처리)
- 특정집단이 여론을 장악하기 좋은 빌미를 제공 > 지속되면 일반 유저들이 지쳐 커뮤니티를 떠남
- 커뮤니티의 여론이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나 정치적 셈법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고인물 상태가 되어버림
비추천이 도태된 이유
- 최근 UI/UX 경향, 서비스 성격과도 연관이 있음
- 서비스의 성격이 세분화 / 전문화되고 있어 좋은 글은 알고리즘을 통해 자연스럽게 상위에 노출, 아닌 글들응ㄴ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구조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그리드 시스템 (2) | 2022.05.24 |
---|---|
Design Research Process 02 (1) | 2022.05.24 |
Design Research Process 01 (2) | 2022.05.23 |
UI text가 정확하다는 것의 의미는? (0) | 2022.05.17 |
다국어 서비스 기획 시 고려해야 할 것들 (0)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