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읽은 글 : https://brunch.co.kr/@fbrudtjr1/23
# 기능의 컴포넌트화
- 변화무쌍한 현지 특성을 고려해 기능을 넣고 빼기 쉽도록 단위별로 컴포넌트화해서 작업해야 함
컴포넌트 단위
- 예외사항 발생 시 문제가 발생한 부분만 교체 또는 제외
하나의 프레임
- 예외사항 발생 시 해당 영역을 하드코딩으로 예외처리
-----------------------------------------------------------------------------------------------------------
# 글로벌 서비스를 만들 때 가장 주의해야 할 것
문자의 압축률
- 내가 어떤 표현을 할 때 몇 글자의 문자가 필요한가
- 한국어는 문자중에서도 압축률이 높은 언어 중 하나
- 중국어는 한글보다 압축률이 놓음
- 한자 > 한글 > 영어 순으로 문자의 압축률이 높아짐
- 다국어 서비스에서 문자 길이를 예상할 때
- 가장 짧은 문자 = 한자
- 가장 긴 문자 = 영어
CTA 설계 시 (Call to Action)
- 버튼의 가로폭을 글자수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 (ex. LG전자)
- 가장 긴 문자 기준으로 가로폭을 설계
- MIN은 중국어, MAX는 영어를 기준으로 설계하면 다국어의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음
말줄임
- 영역은 정해져 있고 글자 길이는 영역보다 길거나 예상할 수 없을 때 사용
- 다국어의 말줄임 이슈는 주로 카드형 List 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
- 글자가 80byte 이상 초과될 경우 말줄임을 사용 but, 글자를 byte로 자르면 다국어 서비스에서 문자마다 한글자가 차지하는 byte차이로 문제가 발생
- 1글자당 byte 수
- 영어 1byte
- 공백/특수문자 1byte
- 한글 2byte
- 중국어 3byte
- byte대신 character(문자)로 세서 말줄임처리를 하기도 함
- 어떤 언어든 글자 하나에 1character로 카운트하여 정해진 character가 넘어가면 말줄임 처리를 하게 함
단점
-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문자마다 1글자가 차지하는 영역이 다를 수 있음
- 글자가 차지하는 영역을 고려해 언어마다 말줄임 제한 글자수를 다르게 설정해줘야 함
- 정확히 예측이 어려움이 있어 프로토타입으로 해당 영역을 퍼블리싱 해놓고 언어를 하나하나 넣어 보면서 최적화된 글자수를 알아내야 함
문자코드
- 다국어 서비스에서 언어가 표시되는 영역
- 퍼블로 입력하는 일반 문자열 : 이용안내, 개인보호정책 등
- 관리자 페이지에서 입력하는 문자열 : 공지사항, 팝업 등
- 프로그램에서 표시하는 문자열 : 게시판의 List 버튼 텍스트
- 문자열 유형에 따라 문자열이 저장되는 위치
- 일반 문자열 = HTML
- 관리자페이지 문자열 = Data Base
- 표시 문자열 = 프로그램 소스
- 관리와 추가 수정이 용이하도록 프로그램 공통 문구는 코드를 따고 해당 문자열을 DB에 저장해서 불러오는 방식을 사용
- 기획에서 화면 설계를 할 때는 텍스트의 유형을 파악해 코드로 관리해야 되는 문자열은 미리 코드를 따두고 관리
-----------------------------------------------------------------------------------------------------------
# 월드타임
다국어 구축이나 운영 경험이 없는 기획자가 다국어 서비스를 설계할 때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
시차문제는 주로 공지사항 관리, 팝업 관리, 메인 베너를 하나의 관리자에서 등록/관리하는 경우에 발생
시차보정 기능
- 하드코딩 : 예약노출 시간은 한국을 기준으로 시차를 프로그램이 자동 보정되도록 함
- 국가 별로 배너 오픈 시간을 별도 설정할 수 있도록 등록 영역 개발
- 그냥 한국시간 기준으로 공개
서버 점검
- 예약노출 시간 보정에 있어 고려해야 함
- 등록 옵션에 시차 보정 on/off를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나 라디오 버튼 선택 옵션을 두는 것이 좋음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그리드 시스템 (2) | 2022.05.24 |
---|---|
Design Research Process 02 (1) | 2022.05.24 |
Design Research Process 01 (2) | 2022.05.23 |
UI text가 정확하다는 것의 의미는? (0) | 2022.05.17 |
커뮤니티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1) | 2022.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