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Design Research Process 01

JiHae 2022. 5. 23. 18:15

내가 읽은 글 : https://brunch.co.kr/@rladudrl305/18

 

 

# 5 WHYS

 

문제를 정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

좋은 UX는 비즈니스의 목표와 사용자의 목표를 일치시키는 것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하기 "5 Whys"

-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왜?'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는 방식

- 우리는 프로불편러가 되어야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 제품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Project Brief를 작성

 

Project Brief

- 프로젝트 개요, 목표, 타깃 유저, 요구 사항, 예산과 스케줄, 제한사항 등이 담긴 문서

출처 : https://brunch.co.kr/@rladudrl305/18

 

 

# 경쟁사 분석 (Competitve Analysis)

 

본격적인 UX리서치에 앞서 서비스 또는 제품이 위치하고 있는 시장과 경쟁사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주위 상황을 분석 > 시사점이나 문제 이슈 등을 도출

 

주로 타겟 유저 비교 / 기능별 분석 / 시장에서의 위치 비교 / UI 및 User Flow에 대한 공통점이나 차이점 분석

 

 

 

# 실무 리서치 및 리서치 계획

 

리서치 = 사용자를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

 

UX 리서치를 하지 않고 디자인을 시작하게 되면 사용자들의 맥락이나 행동들을 무시하는 결과가 초래됨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잠재적인 요구사항을 말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우리처럼 익숙하지 않음

> 사용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는 행동, 태도, 맥락, 방법 등에 대해 인사이트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해야 함

Context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시간, 장소, 상황, 사회문화적 환경
Behavior 사용자가 제품과 실제적으로 인터렉션하는 방식
Need 사용자의 내적인 욕구
Attitude 대상에 대해서 가지는 인지적 / 정서적 반응
Motivation 사용자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동기 / 원인
서비스 특성과 타겟 유저에 따른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

 

리서치 계획 확립 후 리서치 대상자를 선정해야 함

- 선정 기준 : 리서치를 하는 목적과 내용에 부합해야 함 (친구, 가족 X)

- 인구 통계학적인 기준 (나이, 성별, 국적, 직업 등)

-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 이용의 특성 기준 (사용 빈도, 구매 비율 / 빈도, 브랜드 인지도 등)

- 주제와 관련된 컨텍스트를 기준 (ex. 혼자 밥을 자주 먹는, 공연을 자주 보러 다니는, 직구 경험이 있는 등)

리서치 계획 기본 순서
리서치 대상 리서치 방법 선정 리서치 내용 설계 대상자 리쿠르팅
사용자 분류
사용자 세분화
리서치 방법 선정
진행 방식 계획
이슈리스트 작성
질문 내용 상세화
리서치 시나리오 / 가이드
리서치 참여 요청
리서치 일정 정리

 

 

# 사용자 인터뷰

 

인터뷰를 진행하며 주목해야할 포인트는 4가지

- Pains 불편한 점

- Pleasures 좋은 점 / 유용한 점

- Context 언제 / 어디서 / 어떠한 상황에서

- Behavior 실제로 어떤 행동을 하는가

- 왜? 라는 단어와 질문에 집중하며 육하원칙의 방법대로 인터뷰 진행

 

사용자들은 의도적으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정적인 의견을 주지 않음

사용자들의 비언어적인 표현에 귀를 기울여야 함 (표정, 행동)

대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도된 질문은 금지

포괄적인 질문보다 구체적인 질문을 해야 함

 

인터뷰 방법론
심층 인터뷰 응답자 내면의 생각, 동기 맥락을 깊게 파악할 수 있음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
인터뷰 스킬이나 분위기에 영향을 받기도 함
포커스그룹 인터뷰 소수의 응답자들 간 자유로운 대화 과정에서 조사 목적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얻는데 사용
첨여자들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많은 생각과 의견들을 교환
-----------------------------------------------------------------------------------------------------
전체의견에 의하여 개인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됨
Contextual Inquiry 사용자의 공간 안에 들어가서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 > 사용자의 숨겨진 니즈를 찾아내는 방법
사용자의 실제 맥락과 행동을 파악할 수 있음
유리한 답변을 끌어내는 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
현장의 경험이 중요하거나 전문적이어서 인터뷰를 하지 못할 때 유용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듬
카드 소팅 사용자들이 제품 내부의 정보와  구조를 어떻게 생각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준비된 카드를 그룹화하여 표현
제품의 IA를 결정할 때 쯤 제품의 설계가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할 때 사용
커머스 계열, 핀테크 등 서비스의 정보구조가 복잡한 경우에 주로 사용
Wizard of Oz 프로토타입을 테스트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됨
인공지능, VI, IOT를 테스트 할 때 유용
완성되지 않은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자와 인터렉션 하면서 이끌어 낸다.